상속세No.1 상속세전문 신재열세무사의 상속세닷컴
scroll top button
상속세 관련 뉴스를 제공합니다.
상속세뉴스

상속세 폐지, 시기상조다

페이지 정보

작성일작성일 11-02-16 16:12 조회10,343회

본문


대한상의가 상속세 폐지를 정부에 건의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대한상의는 상속세가 경영권승계를 어렵게 만들고 미실현소득에 과세한다면서 폐지해 줄 것을 요구했다. 모든 제도가 그러하듯이 상속세제도 현실과 국제적인 추세를 잘 반영하는 것이 정도(正道)다.


재계가 상속세 폐지를 주장하지만, 부(富)의 재분배라는 정책적 목적이 강한 세금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국가가 이를 유지하고 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0개 국가 중 상속세를 폐지한 나라는 7개국에 불과하다. 더구나 빈부격차가 심해지고 있는 우리나라에서 부(富)의 대물림을 시정하는 상속세 기능을 무시할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미국은 정부가 상속세 폐지를 추진하고 국민들이 동의하고 있다. 미국의 상속세폐지론자들은 부자들이 재산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세금을 내고 남은 재산인 상속재산에 또 세금을 부과하면 이중과세라는 주장을 한다. 부자들이 기부와 일자리창출로 사회적 책임(noblesse oblige)을 다했다고 생각하는 국민들의 정서도 상속세 폐지에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의 현실은 어떤가? 대부분 국민들은 부자들이 부(富)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세금을 제대로 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상속세는 재산을 모으는 과정에서 탈루한 세금을 마지막으로 정산하는 기능도 갖고 있다. 이 또한 우리나라가 상속세를 유지해야 하는 이유가 된다.

상속세를 폐지한 대부분 국가가 상속받은 재산을 양도할 경우 양도가액에서 돌아가신 사람이 취득한 가액을 차감한 차익을 기준으로 양도소득세를 부과하는 보완책을 도입했다. 재산을 물려 줄 사람이 취득한 금액에 대한 정보가 필수적이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2006년 6월부터 등기부에 취득가액을 기재하는 제도가 도입됐고, 2007년부터 양도소득세를 실거래가로 부과해 오고 있다. 2006년 6월 이전 부동산취득자의 취득금액에 대한 인프라 구축이 미비한 실정이다.

재계는 상속세가 경영권확보에 걸림돌이 된다지만, 경영권(특히 대기업)은 주주의 고유 권한이므로 상속과 연관지울 문제가 아니다. 경영인이 주주이익을 극대화하고 기업을 성장시킬 능력이 있다면 소유경영인이든 전문경영인이든 주주의 선택을 받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재산소유권에 대한 상속세는 법에 따라 성실히 신고·납부해야 한다.

이러한 현실에서 상속세 폐지는 어렵다. 그러나 상속세가 기업의 유지발전에 걸림돌이 되고 자산의 해외유출을 부추기는 측면이 있으므로 완화하는 것이 세계적 추세다. 앞으로의 세제개편에서 현행 상속세 최고세율 50%를 40%대로 인하하는 게 세계적 추세에 부합한다.

현재 상속재산 10억원 이하에는 상속세를 물리지 않는다. 이 금액은 10년 전인 1998년에 정해진 것으로서 현실성이 떨어진다. 이제 강남에 30평형 아파트 한 채만 갖고 있는 1세대1주택자도 상속세를 걱정해야 할 판이다. 그동안 달라진 경제 환경을 반영하고 중산층의 재산형성을 지원하기 위해 상향조정할 필요가 있다.

과중한 상속세가 사업의욕을 떨어뜨리고 중소기업의 유지발전을 가로막는 문제도 해결해야 할 과제다. 독일과 같이 중소기업을 성실히 경영하여 가업으로 물려 줄 경우 그리고 후세들이 가업을 잘 운영해 납세·기부·일자리 창출 등 사회적 책임을 다한 경우 이를 평가하여 상속세를 감면해 주는 인센티브제도의 도입을 제안한다. 


2008년 4월 24일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상속세뉴스 목록

Total 630건 10 페이지
상속세뉴스 목록
번호 제목 날짜 조회
450 국세청, 해외계좌 미신고액 50억↑…무조건 형사고발" 인기글
작성일 2017-06-13 | 조회수 10388
2017-06-13 10388
449 앙드레김 아들 상속재산 적게 신고…가산세 부과는 부당 인기글
작성일 2016-05-26 | 조회수 10387
2016-05-26 10387
448 조세심판원, 근린공원 지정 토지 상속세 물납 허용해야 인기글
작성일 2014-12-30 | 조회수 10385
2014-12-30 10385
447 스무살도 안된 자녀에게 재산 물려주면 증여세 추가과세 인기글
작성일 2016-12-06 | 조회수 10378
2016-12-06 10378
446 상속세 이 정도는 상식으로 인기글
작성일 2011-02-17 | 조회수 10358
2011-02-17 10358
445 해외금융계좌 신고제도란 인기글
작성일 2014-02-03 | 조회수 10358
2014-02-03 10358
444 증여세 비과세 대상인 부양의무자의 교육비나 생활비 등 인기글
작성일 2015-02-16 | 조회수 10353
2015-02-16 10353
443 가업(家業) 물려받았을 때 세부담 덜어준다 인기글
작성일 2017-12-04 | 조회수 10352
2017-12-04 10352
열람중 상속세 폐지, 시기상조다 인기글
작성일 2011-02-16 | 조회수 10344
2011-02-16 10344
441 국세청 '공개 세무법정' 열겠다는데...고리무는 '의구심… 인기글
작성일 2018-06-18 | 조회수 10343
2018-06-18 10343
440 증여후 특수관계 소멸…부당행위계산 부인 적용 안돼 인기글
작성일 2011-02-16 | 조회수 10306
2011-02-16 10306
439 "어머니께 빌린 돈, 증여세 과세 맞다"…김동연 "확인하겠다" 인기글
작성일 2017-06-13 | 조회수 10291
2017-06-13 10291
438 피상속인의 채무를 상속인이 아닌 자가 승계·부담하는 경우 인기글
작성일 2015-03-23 | 조회수 10290
2015-03-23 10290
437 부모로부터 부동산을 임차하면서 임대차계약서를 작성하였으나 대가를 지급하지 않는 경우 인기글
작성일 2015-03-24 | 조회수 10287
2015-03-24 10287
436 채무면제 등에 따른 이익의 증여 인기글
작성일 2015-02-16 | 조회수 10284
2015-02-16 10284
435 스티브잡스의 마지막 말 인기글
작성일 2015-11-16 | 조회수 10255
2015-11-16 10255
434 명의신탁 주식에 대하여 무상주를 취득한 경우 별개의 명의신탁 주식으로 볼 수 있는지 여부 인기글
작성일 2015-02-11 | 조회수 10254
2015-02-11 10254
433 2017년부터 달라지는 행정제도와 법규 인기글
작성일 2017-01-24 | 조회수 10253
2017-01-24 10253
432 수증재산 신고기한 내 반환…증여세 과세 안돼 인기글
작성일 2011-02-16 | 조회수 10222
2011-02-16 10222
431 상속세 어디가 더 납부했는가? 상속세납부 1위 ~3위는 강남구, 서초구, 종로구 인기글
작성일 2016-09-27 | 조회수 10220
2016-09-27 10220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