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속세No.1 상속세전문 신재열세무사의 상속세닷컴
scroll top button
상속세 관련 뉴스를 제공합니다.
상속세뉴스

임대소득 자산, 소득 적은 배우자 명의로

페이지 정보

작성일작성일 11-02-16 16:03 조회10,055회

본문


임대소득 자산, 소득 적은 배우자 명의로

얼마 전 A씨는 노후자금 마련을 위해 자신의 명의로 임대용 빌라(국세청 기준시가 2억원)를 구입했다. 임대용 빌라에서 발생하는 임대소득은 연간 1500만원 정도로 전액을 모두 퇴직연금 저축이나 펀드 등에 분산 투자할 요량이었다.

이와 관련 A씨는 은행 관계자와 포트폴리오 구성 등을 상담하는 과정에서 임대용 빌라를 소득이 더 적은 부인 명의로 해놓으면 세금이 줄어들 것이라는 얘기를 들었다.

A씨는 연봉 7000만원(평균 근로소득 과세표준 3500만원)의 고소득자로 임대소득 1500만원까지 합해져 소득세 과세표준이 5000만원이나 돼 세율이 약 17%에서 26%로 껑충 뛰기 때문. 그러나 소득이 없는 부인 명의로 해 놓으면 소득세 과세표준이 1500만원이 돼 세율이 17%로 유지돼 세금을 낮출 수 있다.

□과세표준을 낮추면 세금이 줄어든다= 소득세법에 따르면 과세표준과 세율은 ▲1200만원 이하 세율 8% ▲1200만원 초과~4600만원 이하 17% ▲4600만원 초과~8800만원 이하 26% ▲8800만원 초과 35% 등이다.

임대용 빌라가 A씨 명의일 경우 근로소득 과세표준 3500만원과 임대소득 1500만원을 합해 총 5000만원의 과세표준을 기준으로 26%의 세율이 적용돼 내야 할 세금은 평균 850만원 정도 된다.

즉 A씨 부부가 부담해야 할 총 세금은 임대용 빌라가 A씨 명의일 때 850만원. 여기에 10%의 주민세인 85만원을 합해 실제로 부담해야 하는 세금은 935만원이다.

그러나 임대용 빌라가 A씨 부인 명의일 경우 A씨 부인은 임대소득 1500만원을 과세표준으로 17%의 세율이 적용돼 165만원의 세금을 내면 된다.

이럴 경우 A씨가 내야 하는 세금은 기존의 과세표준인 3500만원을 기준으로 17%의 세금이 적용된 505만원과 A씨 부인의 세금 165만원을 합해 670만원. 여기에 주민세까지 합하면 737만원으로 임대용 빌라가 A씨 명의일 때보다 약 198만원이 줄어든다.

그러므로 자산을 취득할 때는 기존의 근로소득 과세표준과 늘어날 소득의 과세표준을 합해 세율 변동이 없는 한에서 부부간의 자산 명의를 결정하는 것이 좋다.

한편 소득이 비슷한 부부라면 공동명의로 자산을 취득해 임대 소득 등을 분할하면 과세표준을 줄일 수 있다.

□부부간 명의 이전, 6억원까지는 비과세= 소득이 더 적은 배우자에게 자산을 이전하는 것이 세금을 줄이는 방법이라는 것을 뒤늦게 알았다면 자산을 배우자 명의로 이전하는 일만 남았다.

지난해까지는 배우자끼리 3억원까지 증여세가 비과세됐지만, 올해부터는 배우자끼리는 6억원까지(10년 이내 증여재산 합한 금액) 증여해도 증여세가 비과세 된다.

A씨의 경우 기준시가가 2억원인 임대용 빌라를 부인에게 명의 이전해도 증여세 부담이 없다. 그러나 6억원을 초과하면 증여세가 과세되므로 꼼꼼히 따져보는 것이 좋다.


2008년 2월 27일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상속세뉴스 목록

Total 630건 12 페이지
상속세뉴스 목록
번호 제목 날짜 조회
410 신탁이익의 증여시기 인기글
작성일 2015-02-16 | 조회수 10112
2015-02-16 10112
409 비과세되는 증여재산 해당여부 인기글
작성일 2015-02-16 | 조회수 10112
2015-02-16 10112
408 장애인이 보험금을 연금으로 받는 경우 증여세 비과세 한도액 인기글
작성일 2015-02-16 | 조회수 10111
2015-02-16 10111
407 쟁점채무가 상속개시 당시 확정된 피상속인의 채무인지 여부 인기글
작성일 2015-12-15 | 조회수 10110
2015-12-15 10110
406 뚝섬 주상복합아파트, 증여세도 폭탄 인기글
작성일 2011-02-16 | 조회수 10109
2011-02-16 10109
405 롯데 총괄회장의 수천억원 탈세의혹 인기글
작성일 2016-08-17 | 조회수 10105
2016-08-17 10105
404 다른 형제가 대표이사로 있는 법인에 대한 채무면제는 증여세 과세 대상임 인기글
작성일 2015-02-16 | 조회수 10104
2015-02-16 10104
403 명의신탁 주식 기초한 무상주, ‘세금’ 매기지 않는다 인기글
작성일 2015-01-25 | 조회수 10103
2015-01-25 10103
402 '억울한 세금' 구제 ...국세청보다 조세심판원이 낫다(?) 인기글
작성일 2017-11-06 | 조회수 10079
2017-11-06 10079
401 금전을 증여받은 후 보험료를 불입한 경우 인기글
작성일 2015-02-16 | 조회수 10075
2015-02-16 10075
400 캠코에 넘긴 국세체납 징수율 고작 “0.66%” 인기글
작성일 2015-11-02 | 조회수 10063
2015-11-02 10063
열람중 임대소득 자산, 소득 적은 배우자 명의로 인기글
작성일 2011-02-16 | 조회수 10056
2011-02-16 10056
398 피상속인의 채무를 상속인이 아닌 자가 승계·부담하는 경우 인기글
작성일 2015-03-24 | 조회수 10055
2015-03-24 10055
397 청구인이 쟁정아파트를 사실상 동생에게 부담부증여한 것으로 보이므로 처분청이 유상 양도분에 인기글
작성일 2015-02-11 | 조회수 10044
2015-02-11 10044
396 자녀의 토지 위에 父가 주택을 신축하고 그 주택을 자녀가 무상사용하는 경우 인기글
작성일 2015-03-24 | 조회수 10030
2015-03-24 10030
395 가업상속공제 대상 확대 인기글
작성일 2011-02-22 | 조회수 10011
2011-02-22 10011
394 외국법에 의하여 혼인한 경우 배우자 증여공제가 가능함 인기글
작성일 2015-03-23 | 조회수 10006
2015-03-23 10006
393 특수관계 없는 자로부터의 금전무상대출 행위에 대하여 그 이자상당액을 증여세 과세할 수 있음 인기글
작성일 2015-02-12 | 조회수 10004
2015-02-12 10004
392 수증자가 증여후 증여재산을 반환하는 경우 증여재산의 범위 인기글
작성일 2015-02-12 | 조회수 9996
2015-02-12 9996
391 '금수저'의 힘...미성년 임대업자 1800명 임대소득 평균 2천만원 인기글
작성일 2017-10-16 | 조회수 9987
2017-10-16 9987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