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속세No.1 상속세전문 신재열세무사의 상속세닷컴
scroll top button
상속세 관련 뉴스를 제공합니다.
상속세뉴스

알쏭달쏭 상속세 용어

페이지 정보

작성일작성일 11-02-16 17:43 조회9,684회

본문


알쏭달쏭 상속세 용어

B씨는 자신의 재산을 자녀에게 증여하는 것이 좋을지 아님 차후에 상속해주는 방식이 세금문제에서 더 이득인가를 고민하다 세금절약 상식이 담겨있는 책을 한 권 샀다.

하지만 평상시 세금에 대한 깊은 지식이 없는 그는 책 속에 나온 ▲상속순위 ▲법정상속분 ▲유류분 제도 등 단어조차 생소해 내용이 잘 이해되지 않았다.

이처럼 법률 용어는 평상시에 자주 접하지 않아 이해가 잘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상속세와 관련된 용어들을 미리 알아두면 상속세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 상속개시일은 사망일 또는 실종선고일을 의미

상속과 관련된 간단한 법률 용어지만 정확한 의미를 모르는 경우도 있다. 우선 피상속인이라 하면 사망한 사람 또는 실종선고 받은 사람을 의미한다.

상속인은 재산을 상속받을 사람을 의미하며 상속개시일은 사망일 또는 실종선고일을 뜻한다.

또한 상속에도 순위가 있으며 이를 지정해 놓은 것을 상속순위라고 한다. 상속순위는 유언으로 상속인을 지정한 경우에는 유언상속이 우선하며, 유언이 없는 경우에는 민법에서 정한 순위에 따른다

민법상 상속의 순위는 다음과 같다.



법정상속인을 결정함에 있어서 같은 순위의 상속인이 여러 명인 때에는 촌수가 가장 가까운 상속인을 우선순위로 하며, 촌수가 같은 상속인이 여러 명인 때에는 공동상속인이 된다.

예를 들어 직계비속(직계로 이어져 내려가는 혈족으로 아들, 딸, 손자, 증손)으로 자녀 2인과 손자녀 2인이 있는 경우에는 자녀 2인이 공동상속인이 되고 손자녀는 법정상속인이 되지 못한다. 태아는 상속순위를 결정할 때는 이미 출생한 것으로 본다.

배우자의 상속순위는 배우자는 1순위인 직계비속과 같은 순위로 공동상속인이 되며, 직계 비속이 없는 경우에는 2순위인 직계존속(조상으로부터 직계로 내려와 자기에 이르는 사이의 혈족. 부모, 조부모)과 공동상속인이 된다. 직계비속과 직계존속이 모두 없는 경우에는 배우자가 단독상속인이 된다.

■ 상속 미지정시 법정상속분 따라 재산 분할

피상속인은 유언에 의해 공동상속인의 상속분을 지정할 수 있으며(지정상속), 유언으로 상속분을 지정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민법에 규정된 법정상속분에 따라 상속재산을 분할한다.

같은 순위의 상속인이 여러 명인 때에는 상속분이 동일한 것으로 하며, 배우자의 상속분은 직계비속과 공동으로 상속하는 때에는 직계비속의 상속분에 5할을 가산하고, 직계존속과 공동으로 상속하는 때에는 직계존속의 상속분에 5할을 가산한다.



■ 유류분 제도란

유언에 의해 재산을 상속하는 경우 피상속인의 의사가 지나치게 감정에 치우치게 되면 여러 사람의 상속인 중 한 사람에게만 재산을 상속하거나 타인에게 전 재산을 유증(유언에 의한 재산증여)함으로써 사회적으로 바람직하지 못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런 상황에 대비 민법에서는 각 상속인이 최소한도로 받을 수 있는 상속분을 법으로 정하고 있는데 이를 유류분이라고 한다.

상속권 있는 상속인의 유류분은 피상속인의 배우자 및 직계비속의 경우 법정상속분의 1/2을 받을 수 있으며 피상속인의 직계존속 및 형제자매는 법정상속분의 1/3을 상속받을 수 있다. <도움: 국세청>


2008년 6월 5일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상속세뉴스 목록

Total 630건 15 페이지
상속세뉴스 목록
번호 제목 날짜 조회
350 유족에게 상속세 부담 줄여주려면? 인기글
작성일 2011-02-16 | 조회수 9749
2011-02-16 9749
349 상속세 부담 줄이려면 미리 증여하세요 인기글
작성일 2011-02-22 | 조회수 9749
2011-02-22 9749
348 이혼한 생부(生父)와 생모(生母)의 동일인 배제 인기글
작성일 2015-02-16 | 조회수 9729
2015-02-16 9729
347 아버지로부터 송금 받은 외화금액은 증여세 비과세대상에 해당하지 않음 인기글
작성일 2015-02-16 | 조회수 9724
2015-02-16 9724
346 채무를 면제받는 경우 채무면제이익에 상당하는 금액의 증여세 과세여부 인기글
작성일 2015-02-16 | 조회수 9711
2015-02-16 9711
345 법원, “반복 세무조사는 재조사에 해당” 인기글
작성일 2015-06-03 | 조회수 9694
2015-06-03 9694
344 법원 "보험금 증여세는 해지환급금 기준으로 매겨야” 인기글
작성일 2015-03-23 | 조회수 9689
2015-03-23 9689
열람중 알쏭달쏭 상속세 용어 인기글
작성일 2011-02-16 | 조회수 9685
2011-02-16 9685
342 증여재산의 반환 및 재증여 인기글
작성일 2015-02-16 | 조회수 9683
2015-02-16 9683
341 아버지 땅에 새로지은 건물, 철거비 세금 환급 거부한 국세청 인기글
작성일 2018-04-16 | 조회수 9675
2018-04-16 9675
340 스위스 금융권 탈세혐의로 곤욕 인기글
작성일 2014-12-30 | 조회수 9668
2014-12-30 9668
339 [내년 세법 이렇게 바뀐다] 상속·증여세율 인하 무산 인기글
작성일 2011-02-17 | 조회수 9667
2011-02-17 9667
338 임대보증금을 증여재산가액에서 차감하지 아니함 인기글
작성일 2015-02-11 | 조회수 9661
2015-02-11 9661
337 GS·신세계 계열 유통기업 2곳 세무조사 인기글
작성일 2011-02-24 | 조회수 9658
2011-02-24 9658
336 장례비 500만원 초과시 지출증빙 챙기세요 인기글
작성일 2011-02-17 | 조회수 9657
2011-02-17 9657
335 ‘과세관청직원 안내오류, 세금추징시 가산세부과는 잘못 인기글
작성일 2015-05-26 | 조회수 9645
2015-05-26 9645
334 수증자가 증여재산가액을 초과하여 채무를 인수한 경우 인기글
작성일 2015-03-24 | 조회수 9644
2015-03-24 9644
333 해외금융계좌 미신고 혐의자 175명 정밀검증 실시 인기글
작성일 2014-06-23 | 조회수 9625
2014-06-23 9625
332 종중 토지의 딜레마 "종중땅인데 내가 왜 세금을?" 인기글
작성일 2019-02-07 | 조회수 9619
2019-02-07 9619
331 법원 "700억 유산에 상속세 320억 합당" 인기글
작성일 2011-02-22 | 조회수 9613
2011-02-22 9613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