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속세No.1 상속세전문 신재열세무사의 상속세닷컴
scroll top button
상속세 관련 뉴스를 제공합니다.
상속세뉴스

임대소득 자산, 소득 적은 배우자 명의로

페이지 정보

작성일작성일 11-02-16 16:03 조회10,054회

본문


임대소득 자산, 소득 적은 배우자 명의로

얼마 전 A씨는 노후자금 마련을 위해 자신의 명의로 임대용 빌라(국세청 기준시가 2억원)를 구입했다. 임대용 빌라에서 발생하는 임대소득은 연간 1500만원 정도로 전액을 모두 퇴직연금 저축이나 펀드 등에 분산 투자할 요량이었다.

이와 관련 A씨는 은행 관계자와 포트폴리오 구성 등을 상담하는 과정에서 임대용 빌라를 소득이 더 적은 부인 명의로 해놓으면 세금이 줄어들 것이라는 얘기를 들었다.

A씨는 연봉 7000만원(평균 근로소득 과세표준 3500만원)의 고소득자로 임대소득 1500만원까지 합해져 소득세 과세표준이 5000만원이나 돼 세율이 약 17%에서 26%로 껑충 뛰기 때문. 그러나 소득이 없는 부인 명의로 해 놓으면 소득세 과세표준이 1500만원이 돼 세율이 17%로 유지돼 세금을 낮출 수 있다.

□과세표준을 낮추면 세금이 줄어든다= 소득세법에 따르면 과세표준과 세율은 ▲1200만원 이하 세율 8% ▲1200만원 초과~4600만원 이하 17% ▲4600만원 초과~8800만원 이하 26% ▲8800만원 초과 35% 등이다.

임대용 빌라가 A씨 명의일 경우 근로소득 과세표준 3500만원과 임대소득 1500만원을 합해 총 5000만원의 과세표준을 기준으로 26%의 세율이 적용돼 내야 할 세금은 평균 850만원 정도 된다.

즉 A씨 부부가 부담해야 할 총 세금은 임대용 빌라가 A씨 명의일 때 850만원. 여기에 10%의 주민세인 85만원을 합해 실제로 부담해야 하는 세금은 935만원이다.

그러나 임대용 빌라가 A씨 부인 명의일 경우 A씨 부인은 임대소득 1500만원을 과세표준으로 17%의 세율이 적용돼 165만원의 세금을 내면 된다.

이럴 경우 A씨가 내야 하는 세금은 기존의 과세표준인 3500만원을 기준으로 17%의 세금이 적용된 505만원과 A씨 부인의 세금 165만원을 합해 670만원. 여기에 주민세까지 합하면 737만원으로 임대용 빌라가 A씨 명의일 때보다 약 198만원이 줄어든다.

그러므로 자산을 취득할 때는 기존의 근로소득 과세표준과 늘어날 소득의 과세표준을 합해 세율 변동이 없는 한에서 부부간의 자산 명의를 결정하는 것이 좋다.

한편 소득이 비슷한 부부라면 공동명의로 자산을 취득해 임대 소득 등을 분할하면 과세표준을 줄일 수 있다.

□부부간 명의 이전, 6억원까지는 비과세= 소득이 더 적은 배우자에게 자산을 이전하는 것이 세금을 줄이는 방법이라는 것을 뒤늦게 알았다면 자산을 배우자 명의로 이전하는 일만 남았다.

지난해까지는 배우자끼리 3억원까지 증여세가 비과세됐지만, 올해부터는 배우자끼리는 6억원까지(10년 이내 증여재산 합한 금액) 증여해도 증여세가 비과세 된다.

A씨의 경우 기준시가가 2억원인 임대용 빌라를 부인에게 명의 이전해도 증여세 부담이 없다. 그러나 6억원을 초과하면 증여세가 과세되므로 꼼꼼히 따져보는 것이 좋다.


2008년 2월 27일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상속세뉴스 목록

Total 630건 20 페이지
상속세뉴스 목록
번호 제목 날짜 조회
250 "가족이라도 무이자로 돈 빌려주면 안 된다" 인기글
작성일 2011-02-24 | 조회수 9912
2011-02-24 9912
249 이혼 조정에 의한 재산분할을 위장이혼 형식을 빌린 증여로 본 처분의 당부 인기글
작성일 2015-02-10 | 조회수 9934
2015-02-10 9934
248 국세청, 조직개편 완료…세무서 117개 시대 열린다 인기글
작성일 2015-03-12 | 조회수 9948
2015-03-12 9948
247 상속세 내려야…경영권 불법승계 막아야 인기글
작성일 2011-02-16 | 조회수 9951
2011-02-16 9951
246 여야, 세수 폭증에 관심 집중…"경기 불황인데 왜?" 인기글
작성일 2016-07-05 | 조회수 9952
2016-07-05 9952
245 증여받은 재산이 금전이고 반환한 금액의 일부가 증여세 신고기한 이후에 변제한 것인 경우 이 인기글
작성일 2015-02-12 | 조회수 9953
2015-02-12 9953
244 2016년 상증법 시행령 개정(신구 조문비교표 첨부) 인기글
작성일 2016-03-30 | 조회수 9962
2016-03-30 9962
243 피상속인의 채무를 상속인이 아닌 자가 승계·부담하는 경우 인기글
작성일 2015-03-23 | 조회수 9966
2015-03-23 9966
242 금수저 대물림 통로, 가업상속공제 대폭 손질한다 인기글
작성일 2016-08-17 | 조회수 9975
2016-08-17 9975
241 자기 회사에 일감 떼어주면 증여세 안 물린다 인기글
작성일 2016-07-28 | 조회수 9982
2016-07-28 9982
240 '금수저'의 힘...미성년 임대업자 1800명 임대소득 평균 2천만원 인기글
작성일 2017-10-16 | 조회수 9987
2017-10-16 9987
239 수증자가 증여후 증여재산을 반환하는 경우 증여재산의 범위 인기글
작성일 2015-02-12 | 조회수 9996
2015-02-12 9996
238 특수관계 없는 자로부터의 금전무상대출 행위에 대하여 그 이자상당액을 증여세 과세할 수 있음 인기글
작성일 2015-02-12 | 조회수 10004
2015-02-12 10004
237 외국법에 의하여 혼인한 경우 배우자 증여공제가 가능함 인기글
작성일 2015-03-23 | 조회수 10006
2015-03-23 10006
236 가업상속공제 대상 확대 인기글
작성일 2011-02-22 | 조회수 10011
2011-02-22 10011
235 자녀의 토지 위에 父가 주택을 신축하고 그 주택을 자녀가 무상사용하는 경우 인기글
작성일 2015-03-24 | 조회수 10030
2015-03-24 10030
234 청구인이 쟁정아파트를 사실상 동생에게 부담부증여한 것으로 보이므로 처분청이 유상 양도분에 인기글
작성일 2015-02-11 | 조회수 10044
2015-02-11 10044
열람중 임대소득 자산, 소득 적은 배우자 명의로 인기글
작성일 2011-02-16 | 조회수 10055
2011-02-16 10055
232 피상속인의 채무를 상속인이 아닌 자가 승계·부담하는 경우 인기글
작성일 2015-03-24 | 조회수 10055
2015-03-24 10055
231 캠코에 넘긴 국세체납 징수율 고작 “0.66%” 인기글
작성일 2015-11-02 | 조회수 10063
2015-11-02 10063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