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속세No.1 상속세전문 신재열세무사의 상속세닷컴
scroll top button
상속세 관련 뉴스를 제공합니다.
상속세뉴스

과세쟁점된 아버지의 사인(死因)

페이지 정보

작성일작성일 11-02-22 17:53 조회10,804회

본문


과세쟁점된 아버지의 사인(死因)


납세자 A씨의 아버지(이하 B씨)는 1928년 출생, 22세의 나이에 소위로 임관, 6.25전쟁에 참전했습니다. 이후 베트남전에도 참전한(1년) B씨는 1973년 예편한 이후 고엽제로 인한 병으로 고통을 받았습니다.

지난 2001년 고엽제 후유의증 환자(상이등급 7급)로 분류되어 보훈병원에서 치료를 받아 왔고 결국 2008년 4월 사망했습니다.

B씨의 남은 재산(상속재산) 15억원 가량은 A씨에게 상속됐고 A씨는 아버지가 물려준 재산에 대한 상속세 1억7000만원 가량을 관할 세무서에 신고했습니다.

여기까지는 아무 문제가 없었습니다.

문제는 관할 세무서가 상속세 조사를 진행한 뒤 일부 상속재산 과소평가(부동산), 보험금 누락 등으로 7100만원 가량이 미신고 됐다는 점을 발견하고 재차 2300만원 가량의 상속세를 추가 납부하도록 결정하면서부터 불거졌습니다.

A씨는 아예 "상속세를 한 푼도 과세해서는 안 된다"며 관할 세무서를 압박(?)했습니다. 관할 세무서가 꿈쩍도 하지 않자 A씨는 조세심판원에 심판청구를 제기하고, "상속세 비과세 결정을 내려달라"고 요구했습니다.

거액의 상속세를 두고 A씨와 관할 세무서간 어떤 문제가 있었기 때문에 이런 다툼이 벌어졌을까요.

□ 과세쟁점이 된 아버지의 사인(死因)= 현행 상속증여세법 11조는 전사자(戰死者) 등에 대한 상속세 비과세가 명시되어 있습니다. 전사 또는 이에 준하는 사망 또는 공무 수행 중 입은 부상 또는 질병으로 사망, 상속이 개시된 경우 상속세를 부과하지 않는 것입니다.

애초 A씨는 상속세 신고시 이 같은 규정을 몰랐던 것으로 보입니다. 1억7000만원 가량의 상속세를 내겠다고 관할 세무서에 자진해 신고했으니 말입니다.

A씨는 "아버지(피상속인)는 지난 2001년 고엽제 후유의증 환자로 분류되어 상이등급 7급자로서 보훈병원에서 치료를 받았고 사망 직전에는 3급으로 승급받았고 현행 고엽제환자지원법상 명시된 질병으로 사망했기 때문에 상속세 비과세가 맞다"고 주장했습니다.

사망진단서에는 B씨의 직접적인 사인(死因)을 골수부전으로 기록했지만 선행사인은 고엽제후유증에 해당하는 비호지킨성림프종으로 적혀 있었습니다.

관할 세무서는 "현행 법은 전쟁 등 공무 수행 중 입은 부상이나 질병이 사망의 직접적인 원인이 될 경우에만 적용된다"며 "B씨처럼 우리나라 평균 남성 사망연령인 75세를 초과한 80세의 고령에 사망한 것을 참전에 따른 직접적인 사인이라고 보기 어렵다"고 맞섰습니다.

이어 "B씨의 상속재산가액(부동산) 중 70%가 베트남전 참전 이후 십 수년이 흐른 뒤 취득됐다는 점은 B씨가 참전 이후 정상적인 경제활동을 했다는 반증으로 상속세를 과세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강조했습니다.

□ 심판원, "상속세 부과 결정 정당했다"= 돌아가신 아버지의 사망원인을 놓고 벌어졌던 납세자와 세무당국의 다툼은 세무당국의 승리로 마무리됐습니다. 심판원은 상속세 부과결정이 정당했다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심판원은 결정문을 통해 "B씨와 같이 80세에 사망한 것을 참전에 따른 직접적인 사인이라고 보기 어려울뿐더러 고엽제후유증 결정기준이 되는 비호지킨임파선암은 고엽제후유증환자 뿐만아니라 일반인들에게도 나타나는 병"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심판원은 이어 "여러 정황을 놓고 볼 때 이 사건의 피상속인(B씨)이 현행 법에 규정된 전쟁 기타 이에 준하는 공무 수행 중 입은 부상 또는 질병으로 인해 사망했다고 볼 수 없다고 판단된다"고 덧붙였습니다.


2010년 3월 15일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상속세뉴스 목록

Total 630건 26 페이지
상속세뉴스 목록
번호 제목 날짜 조회
130 내년부터 상속세·증여세 부담 늘어난다. 상속세및증여세법 개정안 통과 인기글
작성일 2016-12-06 | 조회수 10754
2016-12-06 10754
129 세금 안내는 사람들...근로소득 면세자 도마 위에 오른다 인기글
작성일 2015-06-23 | 조회수 10763
2015-06-23 10763
128 "국세납부, '페이코' 등 간편결제도 가능해져요" 인기글
작성일 2017-11-06 | 조회수 10767
2017-11-06 10767
127 상속·증여세 과세제도, 뿌리부터 다 뜯어고친다 인기글
작성일 2017-09-01 | 조회수 10768
2017-09-01 10768
126 ‘평가기간 벗어난 토지 매매사례가액도 취득가액 인정 인기글
작성일 2015-07-29 | 조회수 10782
2015-07-29 10782
125 한차례 반송만으로 공시송달한 납세고지서 ‘무효 인기글
작성일 2015-03-03 | 조회수 10788
2015-03-03 10788
124 "어른보다 나은 금수저"...미성년자 1인당 배당소득 1.2억원 인기글
작성일 2017-11-06 | 조회수 10796
2017-11-06 10796
열람중 과세쟁점된 아버지의 사인(死因) 인기글
작성일 2011-02-22 | 조회수 10805
2011-02-22 10805
122 노조 공익사업 출연금, 상속·증여세 비과세 인기글
작성일 2011-02-22 | 조회수 10811
2011-02-22 10811
121 증여재산의 반환 및 재증여 인기글
작성일 2015-02-12 | 조회수 10813
2015-02-12 10813
120 - 상속세 논쟁과 미래- 인기글
작성일 2011-02-22 | 조회수 10815
2011-02-22 10815
119 중소기업 가업상속하면 최대 100억원 공제 인기글
작성일 2011-02-22 | 조회수 10828
2011-02-22 10828
118 상속재산 조회 원스톱서비스 전국 어디서나 신청 인기글
작성일 2016-02-24 | 조회수 10829
2016-02-24 10829
117 8·2 이전 계약한 무주택자, 2년 안 살아도 양도세 '면제' 인기글
작성일 2017-09-18 | 조회수 10851
2017-09-18 10851
116 집값 안 잡히니...'보유세 카드' 꺼내 들었다. 인기글
작성일 2018-01-02 | 조회수 10858
2018-01-02 10858
115 국회, 상속.증여세법 등 예산 부수법안 9건 표결 처리 인기글
작성일 2017-12-04 | 조회수 10863
2017-12-04 10863
114 세무조사 하면 뭐하나 법이 엉망인데 인기글
작성일 2011-02-22 | 조회수 10895
2011-02-22 10895
113 [절세테크] 상속재산 협의분할은 등기 이전에 인기글
작성일 2011-02-18 | 조회수 10899
2011-02-18 10899
112 증여일 이전에 존재하는 채무일 것 인기글
작성일 2015-03-24 | 조회수 10904
2015-03-24 10904
111 똑같은 상가인데 행안부-국세청, 가격평가 '제멋대로' 인기글
작성일 2017-09-01 | 조회수 10906
2017-09-01 10906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