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속세No.1 상속세전문 신재열세무사의 상속세닷컴
scroll top button
상속세 관련 뉴스를 제공합니다.
상속세뉴스

[불복이야기]“세무공무원을 너무 믿지는 마세요(?)”

페이지 정보

작성일작성일 11-02-18 17:02 조회15,889회

본문


[불복이야기]“세무공무원을 너무 믿지는 마세요(?)”


세무관서에 근무하는 세무공무원으로부터 세무상담까지 받아 세금신고를 했지만, 나중에 잘못 신고한 사실이 드러나 세금추징에 더해 가산세까지 내게 됐다면 이는 누구의 책임일까요?

일견 세무상담을 잘못한 세무공무원에게 책임이 있으니, 이를 믿은 납세자는 잘못이 없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현행 세법은 세무공무원에게 책임을 물을 수가 없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세무공무원 개인의 행정서비스에 불과할 뿐 과세관청의 공적인 견해표명이라고 보기가 어렵다는 이유입니다.

세법 지식이 부족한 납세자의 입장에서는 세무공무원의 상담내용을 철썩 같이 믿고 세금신고 등을 했다가 이로 인한 경제적 손실이 발생한다면 억울함이 클 수밖에 없을 것입니다.

세법이 세무공무원에게는 책임이 없다고 정하고 있으니, 억울해도 끝내는 납세자 개인이 책임을 모조리 떠 안을 수밖에 없습니다.

일반인들이 쉽게 습득하기 어려울 정도로 세법을 복잡하게 만들어놓고 상대적으로 지식의 우위에 놓인 세무공무원에게는 면책특권(?)을 부여해, 납세자들로 하여금 모르는 것이 죄,라고 강요하고 있는 것이 대한민국의 불편한 현실인 것입니다.

□ "세무공무원이 문제없다고 했는데…"= 납세자 A씨는 지난 2007년 사망한 할아버지로부터 아파트 한 채를 상속받았습니다. 원래는 아버지가 상속받았어야 하는데 아버지가 상속을 포기하면서 본의 아니게 세대생략 상속을 받게된 것입니다.

A씨는 상속을 받은 뒤 얼마 지나지 않아 아파트에 대한 상속재산가액을 6억원으로 계산해 상속재산공제 10억원을 적용, 관할세무서에 상속세 신고서를 제출했습니다. 무언가 미심쩍었던지 A씨는 관할 세무서 접수담당 세무공무원에게 신고에 잘못이 없는지 물었습니다.

접수담당 세무공무원으로부터 "아무런 문제가 없다"는 답변을 듣고 신고서를 제출, 상속세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1년이 지난 지난해 문제가 터졌습니다.

관할세무서는 현행 상속·증여세법상 한 세대가 생략된 상속의 경우 상속공제를 적용하지 않는다는 설명과 함께, 7800만원의 상속세를 납부하라는 통지서를 보내왔던 것입니다.

A씨는 이에 반발, 조세심판원에 심판청구를 제출했습니다. A씨는 "상속세 신고시 관할 세무서 접수담당 공무원에게 적합성을 문의했고, 아무런 문제가 없다는 답변을 듣고 신고서를 제출했다"고 주장했습니다.

A씨는 "제출한 상속세 신고서에는 피상속인과 상속인의 관계가 손자라고 분명히 기재되어 있었기 때문에 접수담당 공무원의 신고서의 오류를 쉽게 인지할 수 있었음에도 이에 대한 업무소홀로 피해를 준 것"이라며 "과세는 취소되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 국세청·조세심판원-"세무공무원 잘못 없다"= 국세청은 A씨의 주장에 대해 "접수담당 공무원과의 일반적인 상담내용만으로 관할 세무서가 A씨에게 공적인 견해를 표명했다고 볼 수 없다"고 반박하며 과세의 정당성을 주장했습니다.

결국 국세청과 A씨의 다툼은 조세심판원이 국세청의 손을 들어주면서 끝이 났습니다. 심판원은 현행 법대로 이 문제에 접근, 국세청의 과세결정에는 아무런 하자가 없다고 결론지었습니다.

심판원은 결정문을 통해 "현행 상속·증여세법상 세대생략 상속의 경우 상속공제 등을 적용하지 않는다고 명백히 규정하고 있다"며 "공제금액이 없는데도 불구하고 세무공무원의 잘못된 설명을 믿고 신고를 했다는 것이 성실신고 의무불이행에 대한 정당한 이유가 될 수 없다"고 설명했습니다.

심판원은 이어 "과세관청 직원의 세무상담에 대한 안내는 세법지식이 부족한 일반인을 위한 행정서비스일 뿐, 과세관청의 공적인 견해표명으로 보기 어렵다"며 "A씨에게 상속공제를 배제하고 세금을 부과한 처분은 잘못이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2009년 8월 7일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상속세뉴스 목록

Total 653건 30 페이지
상속세뉴스 목록
번호 제목 날짜 조회
73 중소기업 가업상속하면 최대 100억원 공제 인기글
작성일 2011-02-22 | 조회수 12966
2011-02-22 12966
72 서울 납세자가 상속세 61% 냈다 인기글
작성일 2011-02-22 | 조회수 11367
2011-02-22 11367
71 [세금상식] 세금걱정 해야할 기간 5년? 10년? 15년? 인기글
작성일 2011-02-22 | 조회수 11021
2011-02-22 11021
70 [긴급점검-①] 유사매매사례 또 혼란속으로 인기글
작성일 2011-02-22 | 조회수 15168
2011-02-22 15168
69 "유사매매가, 같은 단지라고 무조건 비교 안돼" 인기글
작성일 2011-02-18 | 조회수 13110
2011-02-18 13110
68 [절세테크] 상속재산 있다고 다 상속세 내는 것 아니다 인기글
작성일 2011-02-18 | 조회수 11209
2011-02-18 11209
67 [세금상식] 부모님 갑자기 돌아가시면 상속재산은? 인기글
작성일 2011-02-18 | 조회수 10503
2011-02-18 10503
66 [2009稅개편돋보기]계부·계모 재산도 증여세 공제 인기글
작성일 2011-02-18 | 조회수 14082
2011-02-18 14082
65 유학 자녀 위해 해외 주택구입 시... 국세청에 신고 안했다간 큰코 인기글
작성일 2011-02-18 | 조회수 15099
2011-02-18 15099
열람중 [불복이야기]“세무공무원을 너무 믿지는 마세요(?)” 인기글
작성일 2011-02-18 | 조회수 15890
2011-02-18 15890
63 분납→분할납부, "법 쉽게 바꾼다" 인기글
작성일 2011-02-18 | 조회수 10874
2011-02-18 10874
62 부모재산 담보로 대출, "증여세 내세요" 인기글
작성일 2011-02-18 | 조회수 14479
2011-02-18 14479
61 [절세테크] 피상속인의 생전 병원비 5천만원 인기글
작성일 2011-02-18 | 조회수 10141
2011-02-18 10141
60 [절세테크] 상속재산 협의분할은 등기 이전에 인기글
작성일 2011-02-18 | 조회수 13010
2011-02-18 13010
59 [불복이야기] 상속세 결정의 후진성 인기글
작성일 2011-02-18 | 조회수 10343
2011-02-18 10343
58 부부간 분양권 증여 ‘다목적 절세 카드’ 인기글
작성일 2011-02-18 | 조회수 11762
2011-02-18 11762
57 국세청, 상증세 연부연납가산금 가산율 3.4%로↓ 인기글
작성일 2011-02-18 | 조회수 13406
2011-02-18 13406
56 "상속·증여세 폐지, 자본이득세로 대체해야" 인기글
작성일 2011-02-18 | 조회수 10264
2011-02-18 10264
55 [세금상식] 재건축입주권은 납세담보로 "인정 못해" 인기글
작성일 2011-02-18 | 조회수 13407
2011-02-18 13407
54 "치료비.생활비 일시지급시 증여세 과세" 인기글
작성일 2011-02-17 | 조회수 11283
2011-02-17 11283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