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속세No.1 상속세전문 신재열세무사의 상속세닷컴
scroll top button
상속세 관련 뉴스를 제공합니다.
상속세뉴스

[세금상식] 세금걱정 해야할 기간 5년? 10년? 15년?

페이지 정보

작성일작성일 11-02-22 16:46 조회11,020회

본문


[세금상식] 세금걱정 해야할 기간 5년? 10년? 15년?


최근 부동산 투자로 짭짤한 수익을 올린 H씨는 강남에 대형 아파트와 상가건물 등으로 다량 소유한 알부자로 통한다.

그런 그가 최근 밤잠을 설쳐가며 갑작스런 고민에 빠졌는데, 다름 아닌 국세청으로부터 양도소득세 4000만원을 납부하라는 고지서를 받았기 때문이다.

6년전에 등기를 하지 않고 땅을 팔아 넘긴 것이 문제가 됐는데, 특히 H씨는 왜 6년 전의 일이 걸림돌이 되는 것인지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 평소 상식으로는 세금 낼 일이 있더라도 5년만 지나면 세금을 내지 않도록 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말이다.

6년전의 일 때문에 세금 고지서가 날아온 배경에 의문을 품은 H씨는 당장 국세청에 항의를 해봤지만, 돌아온 답은 "법에 따라 당연히 내야 한다"는 것.

실제로 세법에는 H씨가 알고 있던 상식처럼 일정한 기간에만 세금을 부과하고, 그 기간이 지나면 세금을 부과할 수 없도록 하는 국세부과의 제척기간을 두고 있다. 다만 H씨는 너무 일부만 알고 있었던 것일 뿐이다.

일반적인 국세부과의 제척기간은 5년이 맞지만 세목별로, 상황별로 그 기간이 달라진다.

상속세와 증여세는 제척기간이 10년이며, 특히 사기나 부정한 행위로 상속·증여세를 포탈하거나 부정하게 환급·공제받은 경우, 또 상속증여세를 신고하지 않거나 허위신고 또는 누락한 경우에는 제척기간이 더 늘어나 15년이 된다.

다른 세목 역시 일반적인 경우에는 H씨의 생각과 같이 5년의 제척기간이 적용되지만, 신고하지 않는 경우에는 7년, 사기나 부정한 행위가 있는 경우에는 10년으로 부과제척기간이 늘어난다.

H씨는 미등기 전매라는 부정한 행위를 통해 양도세를 탈루했기 때문에 10년의 부과제척기간을 적용 받아 6년전의 세금도 당연히 내야하는 것.

이밖에 더 특수한 경우도 있다.

납세자가 사기나 기타 부정한 행위로 50억원이 넘는 상속세나 증여세를 포탈한 경우에는 국세청이 이를 파악한 날로부터 1년 이내에는 언제든지 과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사실상 평생동안 과세할 수 있는 셈이다.

제3자의 명의로 된 재산을 자신의 명의로 실명전환하거나 등기·등록 또는 명의개서도 없이 취득한 경우, 해외의 재산을 상속 취득한 경우, 유가증권이나 서화·골동품 등의 재산을 취득한 경우에도 국세청이 알게된 1년 이내에 과세하도록 하고 있다.

또 이의신청·심사청구·심판청구·행정소송 등 납세자가 불복·소송을 제기한 경우에는 일반적인 제척기간이 지났더라도 그 쟁송의 결정이나 판결이 확정된 날부터 1년 이내에는 그 결정 및 판결 결과에 따라 과세처분을 할 수 있다는 점을 알아두자.<도움 : 국세청>


2009년 11월 13일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상속세뉴스 목록

Total 653건 30 페이지
상속세뉴스 목록
번호 제목 날짜 조회
73 중소기업 가업상속하면 최대 100억원 공제 인기글
작성일 2011-02-22 | 조회수 12965
2011-02-22 12965
72 서울 납세자가 상속세 61% 냈다 인기글
작성일 2011-02-22 | 조회수 11367
2011-02-22 11367
열람중 [세금상식] 세금걱정 해야할 기간 5년? 10년? 15년? 인기글
작성일 2011-02-22 | 조회수 11021
2011-02-22 11021
70 [긴급점검-①] 유사매매사례 또 혼란속으로 인기글
작성일 2011-02-22 | 조회수 15167
2011-02-22 15167
69 "유사매매가, 같은 단지라고 무조건 비교 안돼" 인기글
작성일 2011-02-18 | 조회수 13110
2011-02-18 13110
68 [절세테크] 상속재산 있다고 다 상속세 내는 것 아니다 인기글
작성일 2011-02-18 | 조회수 11209
2011-02-18 11209
67 [세금상식] 부모님 갑자기 돌아가시면 상속재산은? 인기글
작성일 2011-02-18 | 조회수 10503
2011-02-18 10503
66 [2009稅개편돋보기]계부·계모 재산도 증여세 공제 인기글
작성일 2011-02-18 | 조회수 14082
2011-02-18 14082
65 유학 자녀 위해 해외 주택구입 시... 국세청에 신고 안했다간 큰코 인기글
작성일 2011-02-18 | 조회수 15099
2011-02-18 15099
64 [불복이야기]“세무공무원을 너무 믿지는 마세요(?)” 인기글
작성일 2011-02-18 | 조회수 15889
2011-02-18 15889
63 분납→분할납부, "법 쉽게 바꾼다" 인기글
작성일 2011-02-18 | 조회수 10873
2011-02-18 10873
62 부모재산 담보로 대출, "증여세 내세요" 인기글
작성일 2011-02-18 | 조회수 14479
2011-02-18 14479
61 [절세테크] 피상속인의 생전 병원비 5천만원 인기글
작성일 2011-02-18 | 조회수 10141
2011-02-18 10141
60 [절세테크] 상속재산 협의분할은 등기 이전에 인기글
작성일 2011-02-18 | 조회수 13010
2011-02-18 13010
59 [불복이야기] 상속세 결정의 후진성 인기글
작성일 2011-02-18 | 조회수 10342
2011-02-18 10342
58 부부간 분양권 증여 ‘다목적 절세 카드’ 인기글
작성일 2011-02-18 | 조회수 11761
2011-02-18 11761
57 국세청, 상증세 연부연납가산금 가산율 3.4%로↓ 인기글
작성일 2011-02-18 | 조회수 13406
2011-02-18 13406
56 "상속·증여세 폐지, 자본이득세로 대체해야" 인기글
작성일 2011-02-18 | 조회수 10263
2011-02-18 10263
55 [세금상식] 재건축입주권은 납세담보로 "인정 못해" 인기글
작성일 2011-02-18 | 조회수 13407
2011-02-18 13407
54 "치료비.생활비 일시지급시 증여세 과세" 인기글
작성일 2011-02-17 | 조회수 11282
2011-02-17 11282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