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속세No.1 상속세전문 신재열세무사의 상속세닷컴
scroll top button
상속세 관련 뉴스를 제공합니다.
상속세뉴스

서울 납세자가 상속세 61% 냈다

페이지 정보

작성일작성일 11-02-22 16:47 조회11,367회

본문


서울 납세자가 상속세 61% 냈다


상속세 1조3천억·증여세 3조1천억…주식으로 내는 경우 많아

지난해 상속세가 전년보다 14.3% 증가했고 증여세는 12.0%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증여세는 과세 대상이 약 20% 줄었는데도 세금은 12.0% 증가해 거액의 증여가 많이 일어난 것으로 분석된다.

또 상속세와 증여세는 서울 납세자에 대한 부과액이 둘 다 절반을 넘어 서울에 부가 몰려 있음을 다시 한번 증명했다.

5일 국세청에 따르면 지난해 상속세는 1조3천329억원, 증여세는 3조1천311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

◇ 상속세 1인당 3억3천만원 부과…서울이 60.9% 차지

지난해 상속세 과세 대상은 3천997명이며 가산세를 포함해 최종 결정세액은 1조3천329억원으로 집계됐다.

1인당 3억3천만원의 세금을 낸 셈이다.

지역별로는 서울청이 과세 대상은 전체의 41.0%(1천640명), 세액은 60.9%가 집중됐다.

경기.인천.강원 관할의 중부청(2천944억원)까지 합치면 상속세 과세 대상은 78.4%에 달하고 세액은 83.0%에 이른다.

서울청.중부청 다음으로는 세액 기준으로 부산.경남 관할의 부산청 6.0%(802억원), 대전.충청 관할의 대전청 5.9%(784억원), 대구.경북 관할의 대구청 3.8%(500억원), 광주.호남 관할의 광주청 1.4%(180억원) 등의 순이다.

이처럼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관할 지방국세청에서 상속세를 많이 거두는 것은 그만큼 고가 아파트 등의 부동산과 주식을 많이 보유한 부자가 수도권에 몰려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간 상속세는 꾸준히 증가해 2004년 9천540억원에서 2005년 7천256억원으로 조금 줄었다가 2006년 7천576억원, 2007년 1조1천666억원으로 늘어난 데 이어 지난해 1조3천억원을 넘었다.

이 기간 상속세 부과 대상도 2004년 1천808명에서 지난해 3천997명으로 2.2배가 됐다.

◇ 증여세 대상자 20% 줄었는데 세액은 12% 증가

지난해 증여세 과세 인원은 9만7천277명, 세액은 3조1천311억원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2007년보다 과세 대상자(12만1천471명)는 약 20% 줄었는데도 오히려 세액은 12% 증가한 것이다.

지역별로는 서울 거주자(3만2천589명)가 전체의 33.5%에 그쳤지만 세액(2조189억원)은 전체의 64.5%에 달해 역시 서울에 부가 쏠려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서울청 다음으로는 세액 기준으로 중부청 22.8%, 부산청 7.2%, 대구청 2.2%, 대전청 2.2%, 광주청 1.1% 등이었다.

그간 증여세 대상자는 증감을 반복했지만 세액은 계속 늘어나고 있다.

과세 인원은 2004년 10만3천24명에서 2005년에는 6만2천925명으로 줄었지만 2006년 8만8천279명으로 늘었고 2007년 12만1천471명에서 지난해에는 9만7천명선에 머물렀다.

그러나 세액은 지속적으로 증가해 2004년 1조5천212억원에서 지난해 3억1천억원 수준으로 2배가 됐다.

◇ 상속세·증여세 주식으로 낸다

상속세와 증여세를 현금이 아닌 물건으로 내는 경우 주식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물납액은 8천478억원이며 이중 주식이 91.3%(7천737억원)에 달했고 부동산이 8.7%(736억원), 채권은 0.06%(5억원)에 그쳤다.

서울 납세자가 주식 등으로 상속.증여세를 낸 경우는 전체의 5천522억원으로 전체의 65.1%에 달했다.

광주청 관할에서만 주식(25억원)과 부동산(34억원)의 물납액이 뒤바뀌었다.

올 6월 말 현재 904억원의 물납 중 부동산이 461억원, 주식이 443억원으로 부동산이 조금 많은 상태다.

그간 물납액은 증가세를 보여 2004년 3천71억원에서 2006년 1천789억원까지 줄었다가 2007년 6천645억원으로 크게 증가하고 지난해 8천억원을 넘었다.

지난해 물납 신청은 508건에 달했고 이중 5건은 상속세, 증여세를 내기에 적절하지 않아 불허됐다.

상속세와 증여세를 주식으로 내는 것에 대해서는 탈세의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이 있다.

납세자가 주식으로 세금을 내면 국세청이 한국자산관리공사에 매각을 의뢰해 공매하게 되는데 공매 과정에서 가격이 내려갈 때 이를 다시 사면 탈세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2009년 11월 13일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상속세뉴스 목록

Total 653건 30 페이지
상속세뉴스 목록
번호 제목 날짜 조회
73 중소기업 가업상속하면 최대 100억원 공제 인기글
작성일 2011-02-22 | 조회수 12966
2011-02-22 12966
열람중 서울 납세자가 상속세 61% 냈다 인기글
작성일 2011-02-22 | 조회수 11368
2011-02-22 11368
71 [세금상식] 세금걱정 해야할 기간 5년? 10년? 15년? 인기글
작성일 2011-02-22 | 조회수 11021
2011-02-22 11021
70 [긴급점검-①] 유사매매사례 또 혼란속으로 인기글
작성일 2011-02-22 | 조회수 15168
2011-02-22 15168
69 "유사매매가, 같은 단지라고 무조건 비교 안돼" 인기글
작성일 2011-02-18 | 조회수 13111
2011-02-18 13111
68 [절세테크] 상속재산 있다고 다 상속세 내는 것 아니다 인기글
작성일 2011-02-18 | 조회수 11209
2011-02-18 11209
67 [세금상식] 부모님 갑자기 돌아가시면 상속재산은? 인기글
작성일 2011-02-18 | 조회수 10503
2011-02-18 10503
66 [2009稅개편돋보기]계부·계모 재산도 증여세 공제 인기글
작성일 2011-02-18 | 조회수 14083
2011-02-18 14083
65 유학 자녀 위해 해외 주택구입 시... 국세청에 신고 안했다간 큰코 인기글
작성일 2011-02-18 | 조회수 15100
2011-02-18 15100
64 [불복이야기]“세무공무원을 너무 믿지는 마세요(?)” 인기글
작성일 2011-02-18 | 조회수 15890
2011-02-18 15890
63 분납→분할납부, "법 쉽게 바꾼다" 인기글
작성일 2011-02-18 | 조회수 10874
2011-02-18 10874
62 부모재산 담보로 대출, "증여세 내세요" 인기글
작성일 2011-02-18 | 조회수 14479
2011-02-18 14479
61 [절세테크] 피상속인의 생전 병원비 5천만원 인기글
작성일 2011-02-18 | 조회수 10142
2011-02-18 10142
60 [절세테크] 상속재산 협의분할은 등기 이전에 인기글
작성일 2011-02-18 | 조회수 13011
2011-02-18 13011
59 [불복이야기] 상속세 결정의 후진성 인기글
작성일 2011-02-18 | 조회수 10343
2011-02-18 10343
58 부부간 분양권 증여 ‘다목적 절세 카드’ 인기글
작성일 2011-02-18 | 조회수 11762
2011-02-18 11762
57 국세청, 상증세 연부연납가산금 가산율 3.4%로↓ 인기글
작성일 2011-02-18 | 조회수 13407
2011-02-18 13407
56 "상속·증여세 폐지, 자본이득세로 대체해야" 인기글
작성일 2011-02-18 | 조회수 10264
2011-02-18 10264
55 [세금상식] 재건축입주권은 납세담보로 "인정 못해" 인기글
작성일 2011-02-18 | 조회수 13407
2011-02-18 13407
54 "치료비.생활비 일시지급시 증여세 과세" 인기글
작성일 2011-02-17 | 조회수 11283
2011-02-17 11283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