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속세No.1 상속세전문 신재열세무사의 상속세닷컴
scroll top button
상속세 관련 뉴스를 제공합니다.
상속세뉴스

친절한 금자씨가 우울해진 이유는?

페이지 정보

작성일작성일 22-02-28 09:48 조회4,285회

본문

가정공동체인 부부 간 생전증여는 특별수익인가?
생전 증여가 특별수익에 해당하는지 여부는
피상속인의 사정 및 공동상속인들 사이의 형평을 고려하여 결정
자녀가 부모의 재산을 탐하는 행위는 카니발리즘인가?
 
늘 상냥하던 그녀가 웃음을 잃었다. 
금자씨(가명) 남편은 7년 간의 긴 병환 끝에 지난해 말 세상을 떠났다. 43년 간의 결혼 생활은 비교적 순탄했지만 남편이 병에 걸리면서 조금씩 일그러지기 시작했다. 남편은 병을 얻은 후 건실하게 운영해오던 기업의 지분을 2명의 자녀에게 각각 절반씩 증여했다. 부부가 살던 낡은 아파트 소유권은 금자씨에게 넘겼다. 이후 큰 아들이 운영하던 회사는 재무위기에 빠져 나빠진 반면, 부동산 붐에 편승한 아파트 값은 천정부지로 올랐다.
 
남편의 장례를 치르고 얼마 지나지 않아서 사달이 벌어졌다.
남편을 잃은 아픔이 채 가시기도 전에 들이닥친 자녀들이 금자씨에게 말했다.
"어머니, 아파트를 팔아 저희에게 주시면 평생 봉양할게요."
금자씨는 남편과의 추억이 담긴 집을 팔 수 없다며 거절했다. 그러자 자녀들은 법원에 소송을 제기했다. 아버지가 생전에 어머니에게 넘긴 집은 사전 증여한 상속재산이니 유류분 대상이라고 주장했던 것이다. 금자씨는 애지중지 키운 자식들로부터의 존중과 사랑은 고사하고 소송을 당한 사실에 그만 넋을 놓고 말았던 것이다.
 
드라마 같은 얘기지만 현실 세계는 이 보다 더한 일도 흔하다.
이 사건의 결말은 어떻게 되었을까? 여기서의 쟁점은 남편이 생전에 금자씨에게 증여한 아파트가 자녀들에게 돌아갈 상속재산 중의 일부를 미리 준 것(이를 '특별수익'이라 한다)으로 볼 수 있는지에 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대법원은 이를 특별수익으로 인정하지 않았다.
 
해당 아파트는 금자씨가 평생을 남편과 함께 살면서 마련하고 유지한 것으로 기여에 대한 보상이지 유류분 대상이 아니라고 판결한 것이다. 그러면서 어떠한 생전 증여가 특별수익에 해당하는지는 피상속인의 생전의 자산, 수입, 생활수준, 가정상황 등을 참작하고 공동상속인들 사이의 형평을 고려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했다.
 
위 사례와 달리 남편이 금자씨에게 현금을 증여했다면?
부부사이에는 통상 생활비, 자금 공동관리 등 다양한 목적의 거래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법원은 부부 사이의 현금 거래는 그것이 증여로 볼만한 사정이 명백하지 않다면 증여로 인정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이 또한 특별수익이 되기가 힘들 것으로 보인다.
 
부부간 증여는 10년간 합산하여 6억원까지는 증여세가 부과되지 않는다. 부부 즉, 가정공동체 간에는 금전 거래가 상시로 이루어지고 있는 점을 감안하여 대략 월 5백만원 정도의 금전은 증여로 보지 않겠다는 것이다.
 
참고로, 미국의 경우 2000만불(약 220억원) 이하의 배우자간 증여는 과세하지 않는다. 해당 규정은 뜻밖에도 양도소득세를 줄이는 용도로 활용될 수도 있다. 예컨대 보유하던 아파트를 배우자에게 증여하고 5년이 지난 후 양도를 하게 되면 최대 6억원만큼 취득가격을 올려 그에 해당하는 세액이 줄어드는 것이다.
 
동물의 세계에는 카니발리즘(Cannibalism) 습성이 남아 있다. 카니발리즘이란 동족간 포식의 일종으로 새끼가 낳아 준 어미의 몸을 갉아먹는 행동을 일컫는 말이다. 폭 넓게 보면, 자녀가 부모의 재산을 탐하는 행위도 이와 다르지 않아 보인다.
 
친절한 금자씨는 대법원 판결이 나온 후 자녀들에게 이렇게 말하지 않았을까?
"고맙지만 사절한다. 너희나 잘 해라!"
 
[조세일보] 정찬우세무사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상속세뉴스 목록

Total 659건 6 페이지
상속세뉴스 목록
번호 제목 날짜 조회
559 자식에게 판 집, 고가양도라고?…시장 현실 외면한 '황당 과세' 인기글
작성일 2022-06-13 | 조회수 3619
2022-06-13 3619
558 '자녀 1인당 5천만원' 증여세 인적공제 8년 만에 오르나 인기글
작성일 2022-05-23 | 조회수 4223
2022-05-23 4223
557 효녀 심청, 심봉사를 눈뜨게 하다… '장애인에 대한 상속·증여세' 지원 인기글
작성일 2022-05-23 | 조회수 3901
2022-05-23 3901
556 '고리오 영감'의 절규… "애들에게 모든 것 줬는데, 단 한 시간도 안 … 인기글
작성일 2022-05-09 | 조회수 3774
2022-05-09 3774
555 담보없이 '납세의지'만으로 상속세 등 세금 분납 신청... "안 돼요" 인기글
작성일 2022-04-24 | 조회수 3860
2022-04-24 3860
554 "함께 받은 상속, 한 명에게 몰아주면 '증여세' 인가요?" 인기글
작성일 2022-04-24 | 조회수 3946
2022-04-24 3946
553 업비트, 빗썸, 코빗, 코인원… 세금 산정 방법 바뀐다 인기글
작성일 2022-03-31 | 조회수 3988
2022-03-31 3988
552 '더 낸 세금' 부과제척기간 넘겨 못 돌려준다?…권익위 "환급해라" 인기글
작성일 2022-03-31 | 조회수 4289
2022-03-31 4289
551 국보 매각, 소득세 낼까?… 문화재, 상속세 비과세의 허와 실㊦ 인기글
작성일 2022-03-14 | 조회수 4296
2022-03-14 4296
550 조선왕조실록을 지켜라… 문화재, 상속세 비과세의 허와 실㊤ 인기글
작성일 2022-03-14 | 조회수 4390
2022-03-14 4390
열람중 친절한 금자씨가 우울해진 이유는? 인기글
작성일 2022-02-28 | 조회수 4286
2022-02-28 4286
548 패리스 힐튼은 왜 다이아반지를 돌려주지 않았을까? 인기글
작성일 2022-02-28 | 조회수 4487
2022-02-28 4487
547 세율이 무려 50%…이민 가면 상속세 피할 수 있나요 인기글
작성일 2022-02-14 | 조회수 4838
2022-02-14 4838
546 "태아도 상속공제 가능"… 26년만에 판결 뒤집은 심판원 인기글
작성일 2022-02-14 | 조회수 4258
2022-02-14 4258
545 국세청, 올해도 부동산탈세 정조준…'부모찬스' 연소자 집중조사 인기글
작성일 2022-01-24 | 조회수 4476
2022-01-24 4476
544 며느리가 물려받은 농지, 중과세 왜 못 피했나 인기글
작성일 2022-01-24 | 조회수 4634
2022-01-24 4634
543 "상속·증여세 나눠 낼 때 '이자' 부담스럽다" 인기글
작성일 2022-01-10 | 조회수 4500
2022-01-10 4500
542 받은 돈 돌려줬는데도 '증여세' 맞게 된 이유? 인기글
작성일 2022-01-10 | 조회수 4704
2022-01-10 4704
541 내년 오피스텔 기준시가 8% 오른다…상속·증여때 세부담 커져 인기글
작성일 2021-12-27 | 조회수 4697
2021-12-27 4697
540 주택 상속받을 때 이웃집 살펴봐야 하는 이유 인기글
작성일 2021-12-27 | 조회수 4784
2021-12-27 4784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