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속세No.1 상속세전문 신재열세무사의 상속세닷컴
scroll top button
상속세 관련 뉴스를 제공합니다.
상속세뉴스

친절한 금자씨가 우울해진 이유는?

페이지 정보

작성일작성일 22-02-28 09:48 조회4,145회

본문

가정공동체인 부부 간 생전증여는 특별수익인가?
생전 증여가 특별수익에 해당하는지 여부는
피상속인의 사정 및 공동상속인들 사이의 형평을 고려하여 결정
자녀가 부모의 재산을 탐하는 행위는 카니발리즘인가?
 
늘 상냥하던 그녀가 웃음을 잃었다. 
금자씨(가명) 남편은 7년 간의 긴 병환 끝에 지난해 말 세상을 떠났다. 43년 간의 결혼 생활은 비교적 순탄했지만 남편이 병에 걸리면서 조금씩 일그러지기 시작했다. 남편은 병을 얻은 후 건실하게 운영해오던 기업의 지분을 2명의 자녀에게 각각 절반씩 증여했다. 부부가 살던 낡은 아파트 소유권은 금자씨에게 넘겼다. 이후 큰 아들이 운영하던 회사는 재무위기에 빠져 나빠진 반면, 부동산 붐에 편승한 아파트 값은 천정부지로 올랐다.
 
남편의 장례를 치르고 얼마 지나지 않아서 사달이 벌어졌다.
남편을 잃은 아픔이 채 가시기도 전에 들이닥친 자녀들이 금자씨에게 말했다.
"어머니, 아파트를 팔아 저희에게 주시면 평생 봉양할게요."
금자씨는 남편과의 추억이 담긴 집을 팔 수 없다며 거절했다. 그러자 자녀들은 법원에 소송을 제기했다. 아버지가 생전에 어머니에게 넘긴 집은 사전 증여한 상속재산이니 유류분 대상이라고 주장했던 것이다. 금자씨는 애지중지 키운 자식들로부터의 존중과 사랑은 고사하고 소송을 당한 사실에 그만 넋을 놓고 말았던 것이다.
 
드라마 같은 얘기지만 현실 세계는 이 보다 더한 일도 흔하다.
이 사건의 결말은 어떻게 되었을까? 여기서의 쟁점은 남편이 생전에 금자씨에게 증여한 아파트가 자녀들에게 돌아갈 상속재산 중의 일부를 미리 준 것(이를 '특별수익'이라 한다)으로 볼 수 있는지에 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대법원은 이를 특별수익으로 인정하지 않았다.
 
해당 아파트는 금자씨가 평생을 남편과 함께 살면서 마련하고 유지한 것으로 기여에 대한 보상이지 유류분 대상이 아니라고 판결한 것이다. 그러면서 어떠한 생전 증여가 특별수익에 해당하는지는 피상속인의 생전의 자산, 수입, 생활수준, 가정상황 등을 참작하고 공동상속인들 사이의 형평을 고려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했다.
 
위 사례와 달리 남편이 금자씨에게 현금을 증여했다면?
부부사이에는 통상 생활비, 자금 공동관리 등 다양한 목적의 거래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법원은 부부 사이의 현금 거래는 그것이 증여로 볼만한 사정이 명백하지 않다면 증여로 인정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이 또한 특별수익이 되기가 힘들 것으로 보인다.
 
부부간 증여는 10년간 합산하여 6억원까지는 증여세가 부과되지 않는다. 부부 즉, 가정공동체 간에는 금전 거래가 상시로 이루어지고 있는 점을 감안하여 대략 월 5백만원 정도의 금전은 증여로 보지 않겠다는 것이다.
 
참고로, 미국의 경우 2000만불(약 220억원) 이하의 배우자간 증여는 과세하지 않는다. 해당 규정은 뜻밖에도 양도소득세를 줄이는 용도로 활용될 수도 있다. 예컨대 보유하던 아파트를 배우자에게 증여하고 5년이 지난 후 양도를 하게 되면 최대 6억원만큼 취득가격을 올려 그에 해당하는 세액이 줄어드는 것이다.
 
동물의 세계에는 카니발리즘(Cannibalism) 습성이 남아 있다. 카니발리즘이란 동족간 포식의 일종으로 새끼가 낳아 준 어미의 몸을 갉아먹는 행동을 일컫는 말이다. 폭 넓게 보면, 자녀가 부모의 재산을 탐하는 행위도 이와 다르지 않아 보인다.
 
친절한 금자씨는 대법원 판결이 나온 후 자녀들에게 이렇게 말하지 않았을까?
"고맙지만 사절한다. 너희나 잘 해라!"
 
[조세일보] 정찬우세무사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상속세뉴스 목록

Total 653건 6 페이지
상속세뉴스 목록
번호 제목 날짜 조회
553 업비트, 빗썸, 코빗, 코인원… 세금 산정 방법 바뀐다 인기글
작성일 2022-03-31 | 조회수 3838
2022-03-31 3838
552 '더 낸 세금' 부과제척기간 넘겨 못 돌려준다?…권익위 "환급해라" 인기글
작성일 2022-03-31 | 조회수 4113
2022-03-31 4113
551 국보 매각, 소득세 낼까?… 문화재, 상속세 비과세의 허와 실㊦ 인기글
작성일 2022-03-14 | 조회수 4130
2022-03-14 4130
550 조선왕조실록을 지켜라… 문화재, 상속세 비과세의 허와 실㊤ 인기글
작성일 2022-03-14 | 조회수 4222
2022-03-14 4222
열람중 친절한 금자씨가 우울해진 이유는? 인기글
작성일 2022-02-28 | 조회수 4146
2022-02-28 4146
548 패리스 힐튼은 왜 다이아반지를 돌려주지 않았을까? 인기글
작성일 2022-02-28 | 조회수 4344
2022-02-28 4344
547 세율이 무려 50%…이민 가면 상속세 피할 수 있나요 인기글
작성일 2022-02-14 | 조회수 4667
2022-02-14 4667
546 "태아도 상속공제 가능"… 26년만에 판결 뒤집은 심판원 인기글
작성일 2022-02-14 | 조회수 4124
2022-02-14 4124
545 국세청, 올해도 부동산탈세 정조준…'부모찬스' 연소자 집중조사 인기글
작성일 2022-01-24 | 조회수 4302
2022-01-24 4302
544 며느리가 물려받은 농지, 중과세 왜 못 피했나 인기글
작성일 2022-01-24 | 조회수 4484
2022-01-24 4484
543 "상속·증여세 나눠 낼 때 '이자' 부담스럽다" 인기글
작성일 2022-01-10 | 조회수 4353
2022-01-10 4353
542 받은 돈 돌려줬는데도 '증여세' 맞게 된 이유? 인기글
작성일 2022-01-10 | 조회수 4430
2022-01-10 4430
541 내년 오피스텔 기준시가 8% 오른다…상속·증여때 세부담 커져 인기글
작성일 2021-12-27 | 조회수 4541
2021-12-27 4541
540 주택 상속받을 때 이웃집 살펴봐야 하는 이유 인기글
작성일 2021-12-27 | 조회수 4626
2021-12-27 4626
539 상속재산 팔고 번 돈, 형제에게 나눠줬다면 인기글
작성일 2021-12-13 | 조회수 5035
2021-12-13 5035
538 초과배당, 소액 받았는데…증여세 신고 해야할까 인기글
작성일 2021-12-13 | 조회수 4834
2021-12-13 4834
537 부모에게 5억 받아도 증여세 0원…이 방법 쓴다면 인기글
작성일 2021-11-22 | 조회수 4907
2021-11-22 4907
536 부모가 '주식 대리투자'…수익날땐 증여세 낼까 인기글
작성일 2021-11-22 | 조회수 4641
2021-11-22 4641
535 빌린 돈, 무조건 증여일까…핵심은 '입증' 인기글
작성일 2021-11-11 | 조회수 4645
2021-11-11 4645
534 '증여일까, 양도일까' 판단할 잣대는 3가지 인기글
작성일 2021-11-11 | 조회수 4330
2021-11-11 4330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