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속세No.1 상속세전문 신재열세무사의 상속세닷컴
scroll top button
상속세 관련 뉴스를 제공합니다.
상속세뉴스

결혼 전에 산 분양권인데…" 과세관청의 이상한 계산법

페이지 정보

작성일작성일 24-02-26 09:14 조회1,051회

본문

결혼 전에 산 분양권인데…" 과세관청의 이상한 계산법


  •  

 
 
조세일보
◆…(사진=클립아트코리아)
 
미혼일 때 취득한 주택 분양권을 당시에는 아무 관계도 아니었던 현재 배우자의 주택과 합산해 취득세를 중과세하려 한 과세관청이 납세자와의 다툼에서 패했다.

A씨는 2022년 경상남도 거제시에 위치한 주택을 취득한 후, 1세대 3주택에 해당하는 중과세율(8%)을 적용해 산출한 취득세 등을 신고·납부했다. 분양권 취득 당시 본인에게 주택 1채, 이후 결혼한 배우자에게 주택 1채가 있었기 때문.

하지만 2021년 주택의 분양권 취득 당시에는 미혼 단독세대주로, 배우자 주택을 제외한 1세대 2주택에 해당한다는 사실을 뒤늦게 알게된 A씨. 3주택 중과세율 적용대상이 아니라는 취지로 경정청구를 제기했지만, 과세관청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고 A씨는 즉각 조세심판원을 찾았다.

A씨는 "지방세법 시행령에서 '주택분양권에 의하여 취득하는 주택의 경우에는 주택분양권의 취득일을 기준으로 해당 주택 취득 시의 세대별 주택 수를 산정한다'라고 규정하고 있다"고 했다.

이어 "2021년 쟁점주택의 분양권을 취득했고, 분양권 취득일 당시 미혼 단독세대주로서 경상남도 양산시에 이미 1주택을 소유하고 있었으므로, 쟁점주택을 취득함으로써 1세대 2주택이 되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A씨는 "지방세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1세대 다주택자에 대한 취득세 중과세 규정은 실수요자 보호, 투기 수요를 근절하기 위해 신설된 것으로, 현재까지 1세대 3주택 상태가 되었던 적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분양권 취득일을 기준으로 세대별 주택수를 산정하지 않았다"고 했다.

그러면서 "쟁점주택 분양권 취득일 당시 아무 관계도 아니었던 현재 배우자가 그 당시에 주택을 소유하고 있었다는 사실만으로 1세대 3주택으로 보아 취득세 등을 중과하는 것은 무분별한 주택 소유 및 투기 방지를 위해 신설한 지방세법의 입법취지에도 부합하지 않으므로 경정청구 거부처분은 취소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과세관청은 "2022년 쟁점주택 취득 당시 A씨는 배우자와 혼인한 상태이므로 1세대 판단 시, 지방세법 시행령에 따라 세대별 주민등록표에 따른 세대 구성여부에 관계없이 A씨와 그 배우자를 포함해야 한다"고 맞섰다.

이어 "A씨는 2021년 분양권 취득 당시 주택 1채를 소유하고 있었고 A씨의 배우자 역시 주택 1채를 소유하고 있었으므로 1세대 3주택에 해당한다 할 것"이라며 "이는 쟁점주택 분양권 취득 당시 미혼이었거나, 그 취득 이후 주택을 매도했다 하더라도 달리 볼 것은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양측의 주장과 사실관계를 면밀히 살핀 심판원은 과세관청의 처분에 잘못이 있다고 했다.

심판원은 "과세관청은 분양권 취득 당시 A씨가 주택을 소유하고 있었고 배우자 소유의 주택까지 포함해 1세대 3주택에 해당한다는 의견이나, 주택분양권에 의해 취득하는 주택의 경우에는 주택분양권의 취득일을 기준으로 해당 주택 취득 시의 세대별 주택 수를 산정한다고 규정하고 있다"고 했다.

이어 "A씨는 2021년 분양권을 취득했고, 그 당시 A씨는 단독 세대로서 1세대 2주택이 되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며 "그럼에도 과세관청이 당시 배우자가 아니었던 이의 주택을 포함해 1세대 3주택이 되었다고 보아 경정청구를 거부한 처분은 잘못이 있다고 판단된다"고 밝혔다.
 
출처 : 조세일보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상속세뉴스 목록

Total 652건 1 페이지
상속세뉴스 목록
번호 제목 날짜 조회
652 野 '상속세 공제 확대' 추진에 與 "가짜 우클릭"...이재명 "다음주 … 인기글
작성일 2025-02-17 | 조회수 188
2025-02-17 188
651 유산취득 과세 전문가 토론회 개최 인기글
작성일 2025-02-10 | 조회수 193
2025-02-10 193
650 탈세를 하면 어떤 처벌을 받을까? 인기글
작성일 2025-02-06 | 조회수 199
2025-02-06 199
649 세금, 안 내고 버티면 무슨 일이 일어날까? 인기글
작성일 2025-02-06 | 조회수 207
2025-02-06 207
648 배우자 뒤에 숨어 호화 생활하던 악성 체납자, 교도소 '감치' 인기글
작성일 2025-01-10 | 조회수 306
2025-01-10 306
647 '회수 불가능 채권'에 액면금액으로 상속세 부과는 '위법… 인기글
작성일 2025-01-10 | 조회수 353
2025-01-10 353
646 ‘상속세 인하’ 백지화… 금투세 폐지되고 가상자산 과세 유예 인기글첨부파일
작성일 2024-12-11 | 조회수 443
2024-12-11 443
645 상속인이 지급한 변호사 비용, 상속재산에서 공제되는 채무일까 인기글
작성일 2024-12-09 | 조회수 499
2024-12-09 499
644 국세청, 부동산 감정평가 확대.. 상증세 공정성 높인다 인기글
작성일 2024-12-09 | 조회수 440
2024-12-09 440
643 회삿돈은 내 돈, 자녀에겐 꼼수 증여.. 악덕 '사주일가' 사례 공개 인기글
작성일 2024-12-03 | 조회수 438
2024-12-03 438
642 국세청, 부동산 감정평가 확대.. 상증세 공정성 높인다 인기글
작성일 2024-12-03 | 조회수 436
2024-12-03 436
641 기재부·학계 "유산취득세로 전환해 상속세 부담 적정화 필요" 인기글
작성일 2024-11-07 | 조회수 532
2024-11-07 532
640 지난해 '상속세 상위 1%', 1인당 396억원 납부...'전년… 인기글
작성일 2024-10-04 | 조회수 675
2024-10-04 675
639 효성家 차남 조현문 “모든 상속재산, 공익재단 출연 마무리” 인기글
작성일 2024-10-02 | 조회수 596
2024-10-02 596
638 커피 말고 빵만 되는 상속세 인기글
작성일 2024-10-02 | 조회수 996
2024-10-02 996
637 금융사 “금투세 폐지·상속세 완화 등 입법화 필요” 인기글
작성일 2024-09-04 | 조회수 717
2024-09-04 717
636 중견기업계 "상속세 최고세율, 개정안보다 더 낮은 30%로 낮춰 달라" 인기글
작성일 2024-08-14 | 조회수 786
2024-08-14 786
635 [2024년 세법개정(안)]상속세, 최고세율 50%→40%.. 자녀공제 5억원으로 10배 … 인기글
작성일 2024-08-06 | 조회수 738
2024-08-06 738
634 금감원·9개 금융업 협회 공동으로 상속 금융재산 인출 절차 개선 인기글
작성일 2024-07-22 | 조회수 783
2024-07-22 783
633 통계로 풀어보는 생활속 세금이야기 인기글첨부파일
작성일 2024-07-16 | 조회수 729
2024-07-16 729
게시물 검색